★나의 이야기

家庭儀禮

댄스사랑 2008. 12. 26. 00:50


,·´″°³о♡ 향기를 찾아서 ♡。,·´″°³о

    우리의 예절바른 생활문화 정립에 앞장 서는 곳 冠禮와 婚禮, 喪禮, 祭禮등 四禮는 우리의 전통생활문화를 대표하는 通過儀禮(통과의례)로서 朱子家禮 도입 이후 우리나라에서 家禮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여 왔다. 또한 이 四禮는 가정을 단위로 하는 의례이기 때문에 家庭儀禮라고도 하는데 그 의식절차가 우리 先祖들이 인간의 삶에 있어서 가장 고귀하고 중요한 가치로 인식해 온 禮의 정신과 孝心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서 효와 예를 존중하는 우리 전통생활문화의 양식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러나 家禮는 가정을 단위로 하기 때문에 예로부터 그 가문의 특색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 그 옳고 그름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았고, 더욱이 지금 우리의 家禮는 근대화 과정에서 있은 외세의 침투와 일본의 강점, 광복후의 사회혼란과 한국전쟁, 그리고 최근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외래문물의 유입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왜곡되어 있어서 현대인들이 그 시행에 많은 혼란을 겪고 있다. 이에 全州崔氏 文成公子孫 大護軍公派 종친들에게 가정의례의 절차와 예절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여 21세기 정보화 사회의 생활양식에 적합하면서 우리의 전통을 계승한 바람직한 가정의례를 정립해 가기 위하여 여지원에서 자료를 구해 올려둡니다. 1. 우리나라 家禮의 특징 通過儀禮는 Van gennep이 사용하기 시작하여 지금은 인류학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데 출생, 성년식, 혼례식, 장례식등 인간의 삶에 있어서 매듭이 되는 계기에 행하는 儀禮로서 이러한 매듭을 통해 개인은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이동하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우리나라의 通過儀禮는 冠禮, 婚禮, 喪禮, 祭禮 등 四禮를 말하는데, 高麗末(고려말) 朱子學(주자학)이 도입되면서부터 제도화되기 시작하여 朝鮮時代에는 儒敎(유교)를 통치이념으로 확립하기 위한 목적에서 儒敎的 원리에 근거한 冠婚喪祭 四禮를 家禮로 규정하여 구체적인 생활양식으로 실천하도록 강요하였다. 그 것은 四禮가 君臣, 父子, 夫婦의 상하 관계를 강조하는 윤리의식을 담고 있어서 통치차원에서 신분질서를 확립하는데 효과적인 수단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通過儀禮는 敎化의 수단이면서 동시에 가정을 단위로 하기 때문에 家禮라고도 하는데 내용상 예절을 기본골격으로 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2. 우리나라 家禮의 성립과 배경 儒敎국가인 朝鮮에서는 國初부터 대부분의 士大夫(사대부) 집안은 물론 庶人(서인)들에께까지 朱子家禮에 의거한 冠婚喪祭를 준행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朱子家禮가 중국이라는 외국의 문물로서 당시 우리 풍습과는 다른 점이 많아 민간에서 받아들이기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따라서 조선시대 性理學者(성리학자)둘은 『주자가례』를 실생활에 준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時俗(시속)을 참조하고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많은 노력을 하였다. 그 결과 禮論(예론)은 禮學(예학)으로 발달하여 조선시대 후기에 이르면 『주자가례』마저도 합례적인 행위의 준칙으로는 부족하다고 생각되어서 그것을 보충하는 禮書(예서)가 상당수 편찬될 만큼 禮學이 발달되었다. 한편 이같은 禮學의 발달은 黨爭(당쟁)을 초래하여 국력을 소모시키고 미세한 절목에까지 그 적용을 강요함으로써 禮가 경직되고 형식화되는등 폐단을 가져오기도 하였지만 우리의 冠婚喪祭 四禮가 孝와 禮를 바탕으로 정립될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

첨부파일 [김혜연] 돌아와요 부산항에.mp3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덟번이나 영의정을 지낸 명곡공 최석정 (문열공계)  (0) 2009.03.20
카페지기[이미지]  (0) 2009.01.04
절 하는 법   (0) 2008.12.26
족보용어  (0) 2008.12.26
성씨의 유래   (0) 2008.12.26